전통 제조업에서 종합 모빌리티 산업으로 자동차 산업의 변신
밸류체인 생태계 변화 키워드는 ‘수평화’와 ‘이종산업 통합’

콘티넨탈 액추에이티드 사운드와 앰비오 모빌리티가 실감나는 몰입형 3D 사운드 경험을 선사한다

글로벌 자동차 시장 동향을 살펴보면, 생산은 저유가 지속에도 불구하고, 중국 경기둔화 및 기타 신흥국 경기 침체로 인해 글로벌 자동차 생산은 2017년을 기점으로 하락하고 있다.

Marklines 자료에 따르면, 전 세계 생산량: (2016년) 9200만 대 ⇒ (2017년) 9600만 대 ⇒ (‘18년) 9500만 대 ⇒ (2019년e) 9300만 대로 점차 하락 중이다.

판매는 현재 내연기관 차종(ICE) 판매가 94% 이상 차지하고 있지만, 미래엔 친환경 동력원 전기차(BEV, PHEV) 판매 비중이 상승될 전망이다. 블룸버그 자료에 따르면, 전 세계 전기차 점유율은 (2019년) 5% ⇒ (’25년) 12.5% ⇒ (’30년) 30%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이다.

자동차 산업은 첨단 기술이 결합한 미래차(전기차·자율주행차)를 중심으로 제조업에서 ‘종합 모빌리티 산업’으로 진화하고 있다.

미래차 산업의 중심에는 ‘배터리 기술’의 발전이 있으며, 전기·전자 부품·기술과 결합해 자동차의 전동화를 구현하고, 자동차는 SW 기술이 결합해 ① 자율 주행 ② 사물·차량·사람 연결 ③ 차량 공유로 이동 수단의 혁신이 전개 중이다.

자동차 산업 밸류체인 생태계의 변화를 살펴보면, 완성차 제조사(OEM), 부품 벤더(Tier-1)와 수평적 협력관계 형성하고 있다.

부품 수 감소, 부품 모듈화, 제품 생산주기 단축, 신기술 부품 벤더(전기·전자·IT) 참여 등 요인으로 제조사와 부품 벤더의 관계 변화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완성차 제조사(OEM)는 내연기관차 생산을 축소·효율화하고 미래차 혁신 기술에 역량을 집중하고, 다양한 분야에서의 아웃소싱과 협력을 강화하는 추세이다.

또한, 전기자동차, 자율주행차 등 미래차 개발에 따라 전기·전자·IT·서비스 등 이종산업이 자동차산업 밸류체인으로 진입함으로써, (전기·전자 부품) 내연기관자동차의 엔진 및 구동(파워트레인, 변속기 등) 부품의 90% 이상이 사라지고 배터리, 구동 모터, 동력변환장치(인버터, 컨버터), 차량용 반도체 등의 부품 수요 증가하고 있다.

 

자율 주행 실현을 위해서는 환경인식(Radar, Lidar, 카메라 센서), 위치인식(정밀지도), 판단 및 제어(AI, 빅데이터, Cloud System), 통신(5G, 사물인터넷, 스마트시티) 등의 기술이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글로벌 전기차 판매량은 2025년 1000만 대를 돌파하고 2037년경 시장 점유 50% 이상으로 전망된다. 부분 자율주행차는 2025년경 12.4%의 시장점유율을 보일 것으로 예측되며, 완전 자율 주행차는 2025년경 출현해 2035년경에는 9.8%까지 점유율 상승이 예상된다.

자동차 산업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기간산업이자 수출 산업으로, 우리나라 경제를 견인하는 중추산업이다.

우리나라 자동차 산업 규모는 생산 193조 원(제조업의 13%), 수출 630억 달러(전체의 11%), 고용 40만 명(제조업의 11%)이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18년도 기준 한국의 완성차 생산 403만 대(세계 7위), 부품 수출 230억 달러(세계 6위)이다. 한국은 미래차 분야의 기초 체력을 갖추고 있으며, 향후 산업 저변 확대와 개방형 생태계 조성이 필요하다.

전기차 배터리 분야의 선두이며 모터, 전력 변환 등 핵심부품을 전 세계에 공급 중이며, 2019년 기준 글로벌 전기차 시장 점유율 세계 5위를 기록하고 있다.

자율 주행 2단계 기술을 양산차에 적용했고, 4단계 기술(고도자율주행) 시험에도 성공하는 등 잠재성 보유하고 있다. 향후 AI 등 자율차 핵심기술 개발 노력 필요하다.

자동차 산업은 최근 5~10년 사이 제조업에서 서비스업으로, 하드웨어에서 소프트웨어로, 엔지니어링에서 IT로 산업의 중축이 이동하는 대 변혁기를 맞고 있다.

북미 자동차 산업의 가치 사슬 또한 1차 벤더 역할 확대, 전기·전자·IT 신기술 참여, 보호무역주의로 인한 역내 생산 등 다양한 변화를 직면하고 있으므로 불확실성에 대비할 수 있는 시장 선점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자동차 산업 가치 사슬에서 글로벌 1차 벤더의 역할이 확대되고 있으므로, OEM뿐만 아니라 1차 벤더와의 파트너십 기회 발굴을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전기·전자·IT 등 타 업종 분야와도 협력을 확대해 차세대 자동차 적용 가능한 신기술을 개발하고 미래 사업 기회를 선점해야 되는 시기이다. 다양한 기술 기반의 스타트업 기업들의 활약을 기대해 볼 만한 부분이다.

Ford 구매 부사장 Lisa Drake는 2019년 5.5년이었던 자동차 생산 주기가 전기차 모델의 출시에 따라 2020년 3.3년, 2023년에는 2.9년까지 줄어들 것이라고 예측했다.

KOTRA 디트로이트무역관은 '중소 자동차 부품 기업의 미국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므로 관심 있는 기업은 많은 참여 바란다.'라고 밝혔다.

자료출처 : Marklines, IHS Markit, 통계청, GM, Ford, KOTRA 디트로이트 무역관 보유자료 종합, KOTRA 웹사이트

저작권자 © 스타트업엔(Startup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