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세탁 시 보온율 99.8% 유지, 셀프빨래방 대형 건조기 활용하면 뭉침 없이 복원력 높아져

겨울이 본격화되면서 두툼한 패딩을 꺼내 입는 시즌이 돌아왔다. 매년 드라이클리닝을 맡겼던 패딩이 몇 차례만 세탁해도 힘없이 꺼지고 푸석해졌다면, 세탁 방식부터 점검할 필요가 있다. 전문가들은 패딩 관리의 핵심은 세탁보다는 건조 과정에 있다고 강조한다.

패딩의 충전재로 사용되는 오리털·거위털에는 천연 유분이 함유돼 있다. 드라이클리닝 시 쓰이는 유기용제는 이 유분을 제거해 털의 탄력과 보온성을 떨어뜨린다. 반면 물세탁은 충전재 손상을 최소화하며 보온성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다.

공인 시험기관의 측정 결과, 다운 패딩을 물세탁과 드라이클리닝 방식으로 각각 5회 반복 세탁한 결과, 물세탁한 패딩은 보온율이 99.8% 유지된 반면, 드라이클리닝은 87.3%로 감소했다. 드라이클리닝을 반복할수록 충전재 손상이 누적되며 보온성이 점점 떨어지는 것이다.

패딩을 세탁하기 전에는 반드시 케어라벨을 확인해야 한다. ‘물세탁’, ‘손세탁’, ‘세탁기 사용 가능’ 표시가 있다면 가정에서도 세탁이 가능하다. 세탁 시에는 울 코스와 미온수, 중성 세제를 사용하고, 지퍼를 잠근 뒤 뒤집어 세탁망에 넣으면 형태 변형을 줄일 수 있다.

비싼 패딩 오래 입고 싶다면 드라이 말고 물세탁 해야 보온성↑(사진=워시큐)
비싼 패딩 오래 입고 싶다면 드라이 말고 물세탁 해야 보온성↑(사진=워시큐)

건조 과정은 패딩 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단계다. 충전재가 한쪽으로 몰리거나 팔 부분에만 뭉치면 따뜻함이 떨어지고 옷의 핏도 망가진다. 이때 셀프빨래방의 대형 건조기를 활용하면 열풍이 균일하게 순환해 충전재가 뭉치지 않고 고르게 펴진다. 상업용 건조기는 일반 가정용보다 회전력과 건조 성능이 뛰어나 짧은 시간 안에 완전 건조가 가능하다. 1시간 반 정도면 세탁부터 건조까지 한 번에 끝낼 수 있어 바쁜 겨울철 관리에 효율적이다.

AMPM워시큐 관계자는 “패딩은 올바른 세탁과 건조만으로도 오랜 기간 입을 수 있는 겨울 필수 아이템”이라며 “무조건 세탁소에 맡기기보다 케어라벨을 확인하고 셀프빨래방을 활용하면 경제적이면서 간편하게 관리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겨울, 패딩을 오래 입고 싶다면 드라이클리닝보다 물세탁과 균일한 건조 과정을 우선 고려하는 것이 좋다. 가격이 높은 패딩일수록 충전재 관리가 중요하며, 작은 관리 습관 하나가 보온성과 수명에 큰 영향을 준다.

저작권자 © 스타트업엔(Startup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